2011년 5월 31일 화요일

나는 토건도시 시흥에 살고 싶지 않다.


시흥시는 희망이 있는 도시이다. 수도권주변에서 시흥처럼 자연생태적 자원이 많은 곳도 없으며 지속가능한 개발 가능성이 풍부한 곳도 없다. 이미 개발로 인한 과포화상태가 된 수도권지역에서 가장 여유있는 자원을 가지고 있는 도시이다.



그래서인가 시흥시장 취임 2주년에 지역신문을 빌어 낸 슬로건을 보면 생태문화도시 시흥을 내세웠다. 그런데 왠지 슬로건이 가슴에 와 닿지 않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시흥시 곳곳이 토건사업장이다. 시화호의 오염을 개선하고 시화지역주민들을 위한 환경개선사업비 마련을 목적으로 시작한 시화MTV개발, 시화호 매립이 한창이고, 목감·장현지구 택지개발 국책사업도 추진되고 있고, 군자지구가 여전히 뜨거운 감자로 시흥토건사업의 정점을 찍고 있다. 뿐만아니라 매화동에 산업단지를 추진하고 있으며, 보금자리주택, 은행동 뉴타운 등 시흥시는 지금 토건사업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토건사업의 대부분이 친환경·생태적이란 명분을 건다. 생태란 의미조차도 모르는 한심한 트렌드쫓기이다. 생명도시를 구호로 삼고 있는 시흥시, 도로를 뚫고 확장하고 그것도 모자라 소래산까지 관통하는 민자도로까지 몰아붙이는 현실을 보면 토건도시 시흥이란 말이 어색하지 않다. 2020 시흥시도시기본계획상 인구목표는 535,000명이다. 인구유입을 통한 지역경제, 지역발전이란 공식이 착시현상임을 이미 개발시대를 종결한 선진국이 증명하고 있다. 국책개발사업, 도시개발사업, 도로 등 토건사업이 주민에게 어떤 편익을 주는지, 토건사업에 소요되는 시민의 혈세가 얼마나 다시 주민들의 편익으로 돌아오는지 포장된 사실외에는 알려주지 않는다. 정확한 진실을 보여주고 설명해줘야 한다.

주민들에게 묻자. 도로신설, 확장인가, 아니면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쾌적한 도시환경과 복지. 문화적 향유를 원하는가, 직접 주민들이 스스로의 편익을 위해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지방공무원들은 수십년동안 건설과 토목이 지역발전의 상징인 것으로 교육받아 왔다. 지역유지는 물론이고 상당수의 지역주민들조차 도로건설과 지역개발에 대한 환상이 공존하고 있다. 토목과 건설을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고 시정을 추진해 오던 사람들이 생태이야기하고 복지와 문화 등 삶의 질을 이야기하면 쉽게 공감하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이 중요하다. 민선시장은 이러한 구조를 과감히 주민중심의 시스템으로 바꿔나가는 선봉에 서야 하는 것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이미 퇴보하는 토건중심 발전주의 모델에서 벗어나 생태·복지도시 시흥으로 방향을 바꾸길 기대한다. ‘나는 정말 토건도시 시흥엔 살고 싶지 않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